티스토리 뷰

보드카는 러시아를 상징하는 술


보드카를 빼고 러시아를 말할 수는 없다.
러시아 남자들과 진정으로 친구가 되고자 원한다면 그들이 주는 보드카 잔을 거부해서는 안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러시아 사람들은 일본인보다 한국을 더 좋아하는 것이 아닐까.
일본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게 술을 권하지 않는다. 건배를 권유 받아도 자기 주량에 맞게 먹고 만다.
그러나 한국 사람들의 술 습관은, 두말하면 잔소리이지만 째째한 일본 방식이 아니라
술을 권하고 쓰러질 때까지 마시는 러시아 스타일이다.
한국 사람들과 찐하게 술 자리를 같이한 대부분의 러시아인들은 그날 이후로 친한파로 돌아선다고 한다.
아마 음주습관과 문화의 비슷함이 인종적, 지리적, 역사적 장벽을 넘어서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러시아인들은 한국인과 같이 술을 먹고 2차, 3차까지 가는것을 아니지만, 술을 먹고 쓰러질 때까지 마신다.
그래서 심한 경우에는 술을 먹고 쓰러진 사람 머리 위에 술을 부어주는 풍습도 있다.
술을 강권하는 분위기도 우리나라의 음주 문화와 비슷하다.
"당신이 나를 친구로 생각한다면 한 잔 더 들자"하는 식으로 권한다.


러시아인에게 보드카란 수 많은 술 중의 하나가 아니라 러시아의 역사와 기후,
그리고 민중의 애환이 서린 러시아 그 자체이다.
앙드레 지드는 러시아의 소설에서 술마시는 장면을 빼버리면,
"관절 빠진 손과 손목과 손가락 같다"고 비유하였다.
러시아의 춥고 어두운 日氣와 專制와 공산주의의 음산하고 우울한 체제는
보드카라는 독한 술과 분위기가 어쩐지 어울린다는 느낌을 준다.
가벼운 코메디풍의 연극에서는 가벼운 맥주가,
인간의 복잡하고 고통에 찬 비극에서는 독한 양주가 적절하게 어울리는 것도 같은 이치일 것이다.


따라서 비러시아인으로 처음 러시아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보드카 마시기를 사실 주저한다.
보드카 이름이야 많이 들었지만 실제 한국에서 러시아 보드카를 마시는 것은 불가능하다.
잘해 보아야 영국제 스미르노프는 볼 수 있지만
칵테일 베이스로 사용되지 그것을 가지고 보드카 본래의 맛을 즐기는 사람은 한국에서는 거의 없다.
사람의 미각만큼 간사하고 편견에 가득찬 것은 없다.
게다가 러시아 보드카 특유의 투박하고 조잡한 디스플레이는 이 술에 대한 어떤 의심마저 불러 일으킨다.
러시아에 살면서도 거의 러시아 사람과 접촉을 하지 않고 사는 한국인들은
몇 년이 지나도 보드카는 고기에 간 맞추는 것으로 생각하지 마시는 술로 여기지 않는다.
따라서 한국인치고 보드카를 애찬하거나 잘 마시는 사람은 두 분류 중의 하나이다.



' > (食)'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일 껍질 살림법-  (0) 2007.03.01
신당동 맛집 분포도  (0) 2007.02.23
커피 - 그 검은 유혹  (0) 2007.02.03
양주, 알면 약주 모르면 독주  (2) 2007.02.01
“먹는 것도 때가 있다” 맛있는 ‘바다이야기’  (0) 2007.01.05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